본문 바로가기

감사일기73

21-07-21 Journal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 내가 대부분 쓰는 일기는 내용은 거의 다 뻔한 이야기다. 머리로 모르는 사람이 없다. 문제는 행동이다. 대부분 사람들이 행동하기를 어려워한다. 더 나아가 ADHD는 행동을 시작하는 것 자체에 구조적인 문제를 일컫는다. 크로스핏을 다시 시작하고 한 달 정도는 꾸준히 다녔었다. 그러다가 일이 안 풀린다고 느끼기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끊어 버린 것이 크로스핏이다. 시간이 없었는가? 아니다. 운동 1시간 + 왕복 30분, 시간을 압축하면 1시간 30분이면 충분했다. 왕복하는 동안은 나의 일 관련 생각을 또 하면 되니까 정말 운동에 드는 시간은 1시간이다. 감정은 내 것이 아니다. 생각은 내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니다.라는 말을 줄줄 외면서도 무기력한 상태로 운동까지 도저히 갈 .. 2021. 7. 21.
21-07-20 Journal 신경가소성 회복탄력성 책을 보면 뇌 훈련을 3달 정도 지속하면 회복탄력성을 위한 뇌 회로가 새롭게 재편된다고 한다. 이러한 과정도 신경가소성의 일부로 볼 수 있는지 모르겠다. 내가 생각하는 부분은 역시나 '훈련'의 중요성이다. 생각건대 나의 뇌는 이전 보다도 훨씬 회복탄력성에 필요한 뇌신경들이 끊어져있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ADHD로서 약한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데다가 최근 5년 동안의 이런저런 사건들로 인하여 완전히 무너진 것이다. 다행히도 나는 뇌를 위한 훈련을 하고 있다. 오늘도 할 것이고 내일도 마찬가지로 할 것이다. 일상에서 부족한 부분이 여전히 많지만 다른 것은 몰라도 '편안전활' 훈련은 놓치지 않으려고 한다. 훈련을 통해서 어느 정도 개선이 되고 이러한 부분들이 삶의 작은 부분을 이전과는.. 2021. 7. 20.
21-07-19 Journal 어느 암환자의 인스타를 보고... 아픈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볼 때면 오늘 하루에 정말 감사하게 된다. 최근에 모 가수의 형제가 말기암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기사를 보았다. 이 분의 인스타그램도 들어가서 지난 삶을 보았다. 성공한 삶을 멋지게 누리고 있는 분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오늘내일을 모르는 삶을 살고 있다. 진정으로 기적처럼 잘 이겨내길 바라는 마음이다. 새로운 삶에서는 더욱 멋진 일을 하지 않겠는가? 인스타를 보면서 웃픈 것은 댓글이다. 암을 고쳐줄 테니 연락하라는 댓글들이 엄청 많았다. 믿지 않는 나의 눈으로 볼 때는 돈 좀 될 것 같으니 뭐라도 뽑아보자는 생각으로 사기꾼들이 남긴 댓글처럼 보였다. 또 다른 부류의 댓글은 신을 믿으라는 글들이다. 이 분들은 무슨 생각으로 쓴 것일까? 화가 나.. 2021. 7. 19.
21-07-15 Journal 편안전활 with ADHD 2.0 편안전활이란게 무엇인가? 편도체 안정화, 전전두엽 활성화의 의미이다. 김주환 교수님이 관련 명상 영상 2개를 올려주셔서 매일 하고 있다. 이 영상은 물론 ADHD 환우들을 위해서 올린 것은 아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편안전활이 회복탄력성을 기르는데 핵심이 되기에 올려준 것이다. 회복탄력성이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는 ADHD 환우들에게는 어떤 방식으로 하든지 간에 편안전활은 필수라고 생각한다. 편도체 안정화는 호흡 명상을 통해서 할 수 있다. 호흡이 안정화되면 편도체가 같이 안정화되고 내 안에서 불쑥 올라오는 모든 충동들이 잦아든다. 편도체 안정화는 기본 중에 기본이다. 우리가 불안을 느끼면서 집중을 할 수는 없다. ADHD를 가지고 있으면 TPN과 DMN 스위.. 2021. 7. 15.
21-07-12 Journal 성취감이 삶의 원동력이다 오늘 세미나에서 발표를 했다. 누군가에게는 별거 아닌 일이겠지만 나에게는 큰 의미를 주었다. 사실 시간은 없고 준비는 부족하다는 생각에 발표하지 말까라는 생각이 정말 머리 끝까지 올라왔었다. 그러면서 당장에 보상을 주는 충동이 미친 듯이 밀려왔다. 나는 충동에 매번 굴복하곤 했다. 그러곤 하루를 망치고 내일은 다르겠지 하며 잠을 자고는 또 좌절하는 일들을 해왔다. 지금 당장 나를 이겨내야 내일도 이겨낼 수 있다. 오늘 미루면 내일도 역시나 미룬다. 그 과정에서 반복되는 자기혐오로 더 나약해지고 새로운 강박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굴레는 생각보다 탈출하기가 어렵다. 이미 습관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성공도 성취도 만족스러운 하루도 역시 습관이 된다. 머리로는 알면서 왜 이렇게 힘들.. 2021.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