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사일기73

21-08-22 Journal 코로나 시대에서 더욱 힘든 사람 명법스님의 강연을 보았다. 말씀하시기를 코로나 시대에서 사회적 자아가 강한 사람들은 이 시기를 더욱 힘들게 느끼고 있을 것이라는 말을 하셨다. 관계 속에서 비교 우위를 통해서 자신을 확인하는 데에 익숙한 사람들은 고독을 강요받는 이 시기가 굉장히 괴로울 것이라는 말이다. 반면에 일부 예술가들은 고독 안에서 몰입된 자신을 통해서 존재를 확인하기 때문에 이 시기가 그렇게 힘들기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생각해보니 나의 불안, 두려움, 무기력 등은 비교 속에서 나 자신을 부정하는데에서 시작된다. 어제도 나에게 충분한 시간이 주어졌음에도 그 시간을 고독한 나를 되새김질하는 데에 소모했다. 당연히 생산적인 시간이 아니라 괴로운 시간이었다. 생각을 달리하여 나를 바라보니 나는 사실 예.. 2021. 8. 22.
21-08-16 Journal 잘못은 빨리 인정하고 나의 길을 가라 잘못은 수도 없이 한다. 스스로에게 잘못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런 잘못은 대개의 경우 무시한다. 무시할 수 없는 것은 관계 속에서 내가 자초한 잘못이다. 비난을 받았으면 깔끔하게 인정하고 갈 길을 가야한다. 그냥 들고 있는다고 해결이 되지도 않거니와 내가 해야할 일도 제대로 못하게 된다.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 문제는 머리로 아는 것과 실제 행동하는 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다. 나는 지금 이 지점에서 괴로워하고 있다. 깊게 생각해보면 모든 잘못의 원인은 스스로에게 함부로한 잘못들을 무시하고 넘어간 것에 있다. 나를 소중히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대하는 것이다. 남들의 비난을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보면 나를 아끼고 있다는 것 아닌가? 생각해보면.. 2021. 8. 16.
21-08-10 Journal 생존 본능으로 나를 깨워라! 점심을 먹고 나니 머리가 무겁다는 느낌을 팍 받았다. 푹 자야 할 것만 같은 기분. 잠을 못 자서 그런가라고 하기에는 너무 많이 잤다. 그렇다면 머리의 문제다. 무기력 습관에 절어 있는 나의 뇌가 사정없이 나를 붙잡는 것이다. 배도 부르니 그냥 머리 쓰지 말고 쉬라는 거다. 그러기엔 미팅이 있었다. 미팅에서 이래저래 정신 들게 하는 이야기를 듣고 오니 나의 생존에 비상이 걸렸다는 것을 인지한 것인지 정신이 좀 가벼워졌다. 훈련소에 있을 때 나는 엄청나게 근면 성실했다. 남들 다 하는 꾀도 부리지 않고 묵묵하게 할 것은 다 해냈다. 그 원동력이 무엇일까? 적정 수면과 운동이 기반이었을 것이고 거기에 어느 정도의 절박함이 있었다. 제대로 안 하면 어떻게 될 것만 같은 그 분위기에.. 2021. 8. 10.
21-08-07 Journal 반복의 힘, 생각하는 힘 꽤 오랜 기간이 필요한 어느 문제를 단계 별로 나누어서 해결해 가는 일은 참 어렵다. 나뿐만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만만한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해내는 사람이 있다. 물론 나는 중간에 포기한 경험이 대부분이다. 하물며 두꺼운 책을 읽는 것은 어떤가? 이 마저도 만만치 않은 일이다. 1-2장 읽다가 책장 속에 다시 들어간다. 나중에 다시 꺼내서 다짐을 하고 또다시 1-2장을 본다. 그리고 이번에는 분리수거된다. 이런 과정에서는 의미 있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없다. 결국 책 제목 정도 아는 게 다 일 것이다. 충분한 의지로 시작하지만 결국 왜 똑같은 패턴으로 하지 못하게 되는가? ADHD가 큰 원인이라면 약을 먹는데도 별 다른 진전이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 2021. 8. 7.
21-08-03 Journal 알아차림 지금 나를 지배하는 감정의 이름을 붙여보자. 내 감정을 억누르려고 하지 말고 (그렇게 되지도 않겠지만) 그저 알아차려본다. 아 내가 이런 감정이구나. 객관적으로 바라보자. 좋거나 나쁘거나 어떠한 판단 없이 바라보자. 메타인지라고도 불리는 생각에 대한 생각의 과정에서 나란 존재에서 조금은 떨어져서 바라본다. 잘되던 안되던 굳이 판단하려 하지 말자. 습관적으로 알아차려보는 것이다. 알아차림에 대해 충분히 훈련이 되면 나를 조금 더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낼 수 있다. 언제나 나의 배경 자아는 행복하다. 온전하다. 그렇지 않다고 믿는 생각이 문제다. 언제나 지금 행복하다. 감사하는 것들을 생각해보자. 아내, 아가, 부모님, 친구, 조력자 등등 나는 혼자가 아니다. 혼자라고 믿는 생각이 혼자다. 연결.. 2021. 8. 3.